부산광역시 (부산 이경훈기자)시원한 숲속 계곡에서 전설과 놀아요

등록 :2024-08-05    조회수 194

최고관리자기자

본문

시원한 숲속 계곡에서 전설과 놀아요

우리 어디가-나를 찾아 떠나는 범어사 계곡 여행

내용

 "날씨도 더운데 오늘은 시원한 계곡에 가서 발 담그고 쉬다 오는 건 어때요?"

 "그거 좋지. 더울 땐 역시 계곡물이 콸 콸 콸 흐르는 나무 그늘 아래서 낮잠 자는 게 최고지."

 "좋아요. 계곡에서 물놀이하면서 송사리며 가재도 잡고 놀아요."

 "부산과 관련한 역사도 공부하고 마음도 튼튼하게 단련할 수 있는 곳으로 가볼까?"

 "그런 데가 있어요?"

 "그럼. 다들 오늘은 `나를 찾아서' 떠나보자고. Let's go!"

 "나를 찾아서??"


범어사 계곡 - 범어사 - 청련암 - 용성계곡 - 요산문학관


시원한 계곡 물소리와 국가 보물이 반겨주는 곳


 그렇게 우리가 찾아간 곳은 시원한 물이 콸콸콸 흐르는 범어사 계곡이었어요. 먼저 온 사람들이 계곡 여기저기 자리를 펴고 앉아 더위를 식히고 있었어요. 아이들은 풍덩풍덩 물놀이를 하거나 돌을 들춰보면서 물고기랑 가재가 있는지 살펴보고 있었죠.

 범어사는 우리 부산을 대표하는 사찰 가운데 한 곳이라고 해요.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지었다고 하는데 보물이 많대요. 절의 대문 역할을 하는 조계문,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신 대웅전, 삼층석탑,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같은 것이 국가 지정 보물이래요.

12-1cw30
△범어사 계곡에서 발을 담그고 더위를 쫓고 있는 가족들 모습.


 우리는 도시철도 1호선을 타고 버스로 환승해서 범어사에 갔어요.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이동하기 좋은 곳이라는 장점이 있어요.


 열차가 범어사역에 도착했을 때 아빠가 우리 팔을 끌면서 내리지 말라고 하셨어요. "어? 왜 그러시지?" 엄청 많이 궁금했어요.


 우리는 한 구역을 더 가서 노포역에서 내려 90번 버스를 탔어요. 90번 버스는 범어사역에서도 탈 수 있어요.


 주말엔 등산객과 관광객이 많아서 범어사역에서 내리면 90번 버스를 타고 범어사까지 앉아서 가기 힘들어요. 노포역에서 내리면 100% 앉아 갈 수 있어요.^^ 아빠는 잔머리 대마왕!^^


12-2cw25 

△한여름에도 시원한 범어사 대나무 숲길.


신묘한 무예 수행 벽화가 있는 청련암


 범어사 구경을 하고 계곡에서 가재를 찾고 있는데 아빠가 아주 재미난 곳이 있다며 가보자고 하셨어요.

 "너희들 포 알지? 쿵푸팬더 주인공. 쿵푸팬더로 영어 공부했잖아."

 "예. 그런데 갑자기 쿵푸팬더는 왜요?"

 "바로 요 위에 청련암이라는 절이 있는데 아마도 쿵푸팬더가 거기서 무술을 수련했을 거 같아서."

 "에이∼ 아빠 또…."

 "아냐. 이번엔 거짓말이 아냐. 진짜야."


12-3cw14
△범어사 청련암에 그려진 수행동작.


 청련암에 도착했을 때 아빠 말씀이 거짓이 아닌 걸 알게 됐어요. 청련암 벽에는 범어사나 다른 절에서는 볼 수 없는 이상한 그림들로 가득 차 있었어요. 어떤 무술 동작을 그려놓은 것 같았어요. 쿵푸 그림은 아닌 것 같고….

 "이 그림들은 불교 수행법을 그려놓은 거야. 양익 스님이라는 분이 이 절에 계셨는데, 그 분이 불교 경전을 깊이 연구해서 부처님 때부터 전해져 오던 수행 동작을 무술로 만드셨다고 해. 그 분이 어떤 분인가 하니, 너희들 아까 범어사 입구에 있던 조계문 봤지? 돌기둥 4개 위에 기와지붕을 얹은 문. 그 조계문을 한 번에 훌쩍 뛰어 날아 넘으셨다고 해."

 "우와∼∼ 아빠 또 왕거짓말."

 청련암 벽에 그려진 그림들은 이상하고 어렵게 보였지만 아빠는 쿵푸팬더에 자주 나오는 Inner peace(내면의 평화)처럼 `몸과 마음과 호흡을 하나로' 하는 수행 방법을 표현했다고 하셨어요. 재미 삼아서 동작을 따라해 보니 뭔가 깊은 뜻이 있는 것도 같았어요. 그때 아빠가 그러셨죠.

 "To make something special, you just believe have to it's special.(무언가를 특별하게 만들고 싶다면, 그냥 특별하다고 믿기만 하면 돼. - 쿵푸팬더 명대사)"

 그래요. 아빠 말씀 믿어볼게요.


계곡물 따라 걷는 문화체험 누리길


12-4cw10

△범어사 문화체험누리길을 걷고 있는 시민들. 


12-5cw16 

△요산 김정한 선생의 소설 `사하촌'에 등장하는 용성댐.


 숲속 맑은 공기와 시원한 계곡물을 마음껏 즐기다가 범어사, 청련암 구경을 하고 난 뒤에 우리는 계곡을 따라 범어사역 쪽으로 내려갔어요. 계곡 물소리를 들으면서 걷는 숲길이 참 싱그럽고 예뻤어요. 이 계곡을 용성계곡이라고 부른대요. 마치 폭포 소리처럼 물소리가 커지는 곳에 용성댐이 나와요. 일제 강점기 때 만들었다는데 계곡물을 모아서 수돗물로 공급하기 위해서 만든 거래요. 그래서 바로 근처에 범어사정수장이 있어요. 오늘 마지막 코스로 찾아갈 요산문학관의 주인공 요산 김정한 선생님의 소설 `사하촌'에도 나오는 댐이라고 엄마가 말씀해 주셨어요.


 하늘바라기 길, 물바라기 길, 땅바라기 길, 이름도 참 예쁘죠? 이 길을 `범어사 문화체험 누리길'이라고 불러요.


요산 김정한 선생을 만나다


 범어사까지 왔는데 요산문학관에 들렀다 가자는 엄마 말씀에 우리는 조금 더 걸어서 요산문학관에 갔어요. 입구에 잔디가 깔린 마당과 기와집이 있는데 김정한 소설가가 태어나서 사시던 생가래요.


 생가를 지나면 요산문학관이 나와요. 1층은 안내 겸 북카페, 2층은 요산 김정한 선생님의 작품과 유품이 전시돼 있고, 도서관이 있어요. 약 3천여 권의 책을 소장하고 있다고 해요. 동화책도 있어요.


12-6cw8
12-7cw14
△요산문학관 전경과 전시장 모습. 


 요산 김정한 선생님은 일제 강점기 때는 나라의 독립을 위해 힘쓰셨고, 광복 후에는 독재에 저항하면서 민주주의를 위해서 올바르게 사셨답니다. 그런 정신이 선생님의 작품 속에 다 녹아 있다고 해요.


 입구 벽면에 `사람답게 살아가라'는 큰 글씨도 소설 `산거족'에 나오는 글이라고 해요. "사람답게 살아가라. 비록 고통스러울지라도 불의에 타협한다든가 굴복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사람의 길이 아니다."


 요산문학관은 문학기행, 각종 문학 강좌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는데, 저도 이번에 문학에 관심을 좀 가지고 가을에 열리는 요산문학축전에 참가해 볼까 살짝 고민 중이랍니다.

첨부파일

최신기사

선고기일 확정

2024헌나8 대통령(윤석열) 탄핵사건에 대한 선고가 2025.4.4(금) 오전11시 헌법 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일을 예정입니다.선고기일에 방송사의 생중계와 일반인 방청이 허용됩니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 시상식에 참석한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에 참석한다. . 

이철우 도지사, 신속한 피해조사와 주거 안정 대책 바로 마련할 것

이철우 도지사는 29일 오전 경북도청 화백당에서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신속한 피해 조사와 이재민 구호 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이 도지사는 “도, 시군, 행안부 부처와 협력해 피해 조사를 빨리하고, 복구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며 “시군에 발생한 피해를 세밀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시군과 함께 인력을 투입하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체육관 등 대피시설에 대피한 이재민 한 분 한 분을 생각해 조속히 주거 안정 대책을 마련하라”며 “금일중으로 당장 시행 가능한 주거 마련 대책은 즉각 조치하고 추가로 지원할 부분은 오늘 중으로 즉시 결정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29일 임시주택 26동을 이동 거리와 피해 규모 등을 고려해 안동시는 일직면과 길안면에 각 5동, 영덕은 지품면 농협부지에 6동, 영덕읍 농공단지 내 5동, 청송군은 진보면 5동을 먼저 설치한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피해 복구 통해 빠른 일상 회복이 가능하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고 원형복구 방식을 넘어 이상기후에 의한 재난에 대비한 미래형 개선복구 대책을 만들 것”이라며 “피해 지역과 관련해서는 당장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집중적으로 행정력을 총동원하라”고 말했다.   이어서 “어제 주불 진화가 된 이후 이제 중요한 것은 잔불 진화와 산불확산을 막는 것”이라며 “잔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청송군, 산불피해 지원 재난예비비 20억 원 긴급 투입

청송군(군수 윤경희)은 지난 25일 발생한 대형산불로 주거지를 잃은 주민들을 위해 재난예비비 20억 원을 우선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청송군은 지난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안동을 넘어 청송까지 확산되면서 현재까지 9,000ha가 넘는 관할지역이 소실되었고, 700채가 넘는 주택과 상가, 창고가 폐허가 되었다. 이번 예비비는 화마로 집을 잃은 주민들에게 임시주거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자금으로 긴급 투입된다. 또한 청송군은 재난예비비 긴급 투입과 함께 현재 진행 중인 2025년 제1회 추경예산 편성계획을 전면 보류하고, 청송군의회와 협의하여 산불피해복구와 지원을 위한 재원으로 집중 편성하여 재해복구에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피해지역 주민들이 일상으로 조속히 복귀할 수 있도록 재난예비비를 긴급히 투입하고, 피해시설 철거와 농작물 복구, 기반시설 정비 등 피해복구에 전력을 쏟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