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물의 날, 우리가 지켜야 할 생명의 근원

등록 :2025-03-24    조회수 10

김종협기자

본문

물의 날,
우리가 지켜야 할 생명의 근원

7a4a29a3e8bbe1c2305eae7eab53840f_1742815189_6846.jpeg

                                                                               (황재택)


3월 22일, 세계 물의 날. UN이 지정한 이 날은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점점 심각해지는 물 부족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한 뜻

깊은 기념일이다.


우리에게 물은 너무나 익숙한 존재다. 수도꼭지를 틀면 당연히 나오는 것, 샤워할 때, 밥을 지을 때, 커피 한 잔을 마실 때조차도 깊이 생각하지 않는 것이 물이다. 그러나 이 익숙함 속에서 우리는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을 종종 잊고 살아간다. 물은 유한한 자원이며, 우리가 가꾸고 지켜야 할 소중한 생명의 근원이라는 점이다.

최근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영주댐지사와 영주시, 봉사단체, 주민들이 함께 영주호 상류에서 환경 정화 활동을 펼쳤다. 단순한 청소 활동이 아니라, 물을 살리는 실천이었다. 하천변에 버려진 각종 쓰레기를 치우고, 퇴비 관리를 철저히 하자는 외침을 통해 물 보호에 대한 결의를 다졌다. 이러한 작은 움직임들이 모여 결국 우리 삶의 터전을 지키는 힘이 된다.

우리는 종종 자연이 알아서 물을 정화해 줄 것이라는 착각을 한다. 그러나 한 번 오염된 물은 회복되기까지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영주호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의 강과 하천, 저수지들이 조금씩 탁해지고 있다. 산업화, 생활폐기물, 농업 폐수 등 다양한 오염원이 물길을 따라 흘러가고 있다. 문제는 이런 오염이 특정 지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물은 순환한다. 우리가 버린 쓰레기 하나가 결국 누군가의 식수원으로 흘러들어 갈 수도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거창한 것이 아니다. 작은 실천에서 시작하면 된다.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쓰레기는 올바르게 분리 배출하며, 농약과 비료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만으로도 물 오염을 줄일 수 있다. 지역사회에서도 기업과 행정, 시민들이 함께 참여하는 지속적인 정화 활동이 필요하다.

이번 영주호에서 진행된 국토대청결운동처럼, 우리의 관심과 노력이 모이면 깨끗한 물 환경을 만드는 것은 결코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

물은 단순한 자원이 아니다. 생명 그 자체이며, 우리의 미래다. 오늘 하루만이라도 우리가 누리는 이 물 한 방울이 어디에서 왔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야 이 깨끗함을 지켜낼 수 있을지 깊이 생각해보자.

작은 노력이 모이면 더 맑고 깨끗한 내일이 온다. 물을 아끼고 보호하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가 물의 날을 맞아 해야 할 가장 중요한 다짐일 것이다.

최신기사

선고기일 확정

2024헌나8 대통령(윤석열) 탄핵사건에 대한 선고가 2025.4.4(금) 오전11시 헌법 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일을 예정입니다.선고기일에 방송사의 생중계와 일반인 방청이 허용됩니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 시상식에 참석한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에 참석한다. . 

이철우 도지사, 신속한 피해조사와 주거 안정 대책 바로 마련할 것

이철우 도지사는 29일 오전 경북도청 화백당에서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신속한 피해 조사와 이재민 구호 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이 도지사는 “도, 시군, 행안부 부처와 협력해 피해 조사를 빨리하고, 복구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며 “시군에 발생한 피해를 세밀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시군과 함께 인력을 투입하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체육관 등 대피시설에 대피한 이재민 한 분 한 분을 생각해 조속히 주거 안정 대책을 마련하라”며 “금일중으로 당장 시행 가능한 주거 마련 대책은 즉각 조치하고 추가로 지원할 부분은 오늘 중으로 즉시 결정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29일 임시주택 26동을 이동 거리와 피해 규모 등을 고려해 안동시는 일직면과 길안면에 각 5동, 영덕은 지품면 농협부지에 6동, 영덕읍 농공단지 내 5동, 청송군은 진보면 5동을 먼저 설치한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피해 복구 통해 빠른 일상 회복이 가능하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고 원형복구 방식을 넘어 이상기후에 의한 재난에 대비한 미래형 개선복구 대책을 만들 것”이라며 “피해 지역과 관련해서는 당장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집중적으로 행정력을 총동원하라”고 말했다.   이어서 “어제 주불 진화가 된 이후 이제 중요한 것은 잔불 진화와 산불확산을 막는 것”이라며 “잔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청송군, 산불피해 지원 재난예비비 20억 원 긴급 투입

청송군(군수 윤경희)은 지난 25일 발생한 대형산불로 주거지를 잃은 주민들을 위해 재난예비비 20억 원을 우선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청송군은 지난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안동을 넘어 청송까지 확산되면서 현재까지 9,000ha가 넘는 관할지역이 소실되었고, 700채가 넘는 주택과 상가, 창고가 폐허가 되었다. 이번 예비비는 화마로 집을 잃은 주민들에게 임시주거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자금으로 긴급 투입된다. 또한 청송군은 재난예비비 긴급 투입과 함께 현재 진행 중인 2025년 제1회 추경예산 편성계획을 전면 보류하고, 청송군의회와 협의하여 산불피해복구와 지원을 위한 재원으로 집중 편성하여 재해복구에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피해지역 주민들이 일상으로 조속히 복귀할 수 있도록 재난예비비를 긴급히 투입하고, 피해시설 철거와 농작물 복구, 기반시설 정비 등 피해복구에 전력을 쏟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