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file_get_contents(https://graph.facebook.com/?id=&scrape=true):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0 Bad Request in /home/r1332/public_html/theme/basic/head.sub.php on line 55
납공장 판결 이후, 우리 사회는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 오피니언 | 월드환경일보

칼럼 납공장 판결 이후, 우리 사회는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산업과 환경의 딜레마를 넘어 신뢰의 조건을 묻는다.

등록 :2025-06-16    조회수 141

김종협기자

본문

56e1b4283808acca001aea8159c07927_1750036019_1335.jpeg
납공장 판결 이후, 우리 사회는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산업과 환경의 딜레마를 넘어 신뢰의 조건을 묻는다

56e1b4283808acca001aea8159c07927_1750035838_2047.jpg
산업이냐, 환경이냐’이 질문은 이제 낡았다.그러나 낡았다는 이유만으로 무시할 수는 없다. 여전히 우리는 그 사이에서 고통스럽게 방향을 잡는다. 특히 그 산업이 중금속 ‘납’을 다루고, 그 환경이 바로 내가 살아가는 마을이라면, 문제는 단순한 선택의 차원을 넘는다.

지난 4월 24일, 대법원은 경북 영주시가 납폐기물 재처리 공장의 설립을 불허한 행정 처분을 취소하라는 판결을 확정했다. 행정절차상 하자가 없었다는 이유에서였다. 신청 요건을 갖춘 기업에게 구체적인 피해 증거 없이 불허 결정을 내린 것은 위법하다는 게 법원의 판단이다.
법은 절차를 따졌고, 행정은 주민의 우려를 앞세웠다. 기업은 기술을 말했고, 주민은 삶을 이야기했다.법은 옳을 수 있지만, 공동체는 받아들이지 못할 수 있다. 바로 그 지점에서 갈등이 시작된다.


기술은 진화했지만, 신뢰는 제자리다
공장을 추진한 기업은 단호하다. 납 분진은 100% 밀폐 처리되며, 대기 배출은 법 기준을 충분히 만족시키고, 악취도 없다. 국내에서 거의 전량 수입하던 납을 재생으로 돌릴 수 있으니, 자원 자립도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기후위기 시대에 순환경제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며, 재생납 산업은 그 핵심이라는 논리다.
주장은 정연하다. 그러나 정연함은 곧 신뢰를 뜻하지 않는다.
“기술이 안전하다고요? 그걸 누가 감시합니까?”이 말은 어떤 기술적 반박보다 강력하다.공장이 들어선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온 후, 마을의 공기는 달라졌다. 평소처럼 밭을 일구던 노인들이 신문 한 귀퉁이를 접으며 나누는 속삭임.
“이 동네는 이제 끝난 거 아냐?”아이들이 뛰노는 운동장 옆, 지하수 보호구역 바로 바깥에 공장이 들어선다는 상상은 주민들에게 위험이 아니라 공포다.그 공포는 이렇게 요약된다.“단 한 번의 실수, 그게 모든 걸 바꾼다.”


56e1b4283808acca001aea8159c07927_1750035857_7346.jpg
산업의 논리와 삶의 감각

이 갈등의 특이점은 어느 한쪽이 명백히 틀리지 않는다는 데 있다.기업의 기술도, 지역민의 감정도 각자의 위치에선 충분히 합리적이다.한쪽은 수치와 효율로 설명하고, 다른 한쪽은 체감과 불안을 근거로 반대한다.
그래서 산업과 환경, 어느 하나를 고르라는 식의 구도는 현실과 맞지 않는다.현대 사회의 딜레마는 두 가치를 어떻게 공존하게 할 것인가의 문제로 진화했다.


선진국은 기술보다 신뢰를 먼저 설계했다
이럴 때 흔히 “선진국은 재활용 산업을 잘하고 있다”는 말을 꺼낸다. 그러나 그 ‘잘 한다’는 것은 단지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신뢰를 어떻게 제도화했는가에 대한 이야기다.


독일은 납과 같은 유해 중금속을 다루는 산업에 대해 철저한 사전 인허가와 정보공개, 생산자 책임 체계를 기반으로 제도를 설계했다.‘폐기물 순환경제법(Kreislaufwirtschaftsgesetz)’과 ‘연방 배출통제법(BImSchG)’ 등 관련 법률은 제련 과정의 배출 기준, 사업장 안전, 환경 감시 체계를 강하게 규제하고 있다.배출 수치나 오염 우려에 대한 정보는 주정부 또는 연방 환경청(Umweltbundesamt)을 통해 시민에게 공개되며, 법 위반 시에는 사업 정지나 인허가 박탈같은 강력한 행정 처분도 가능하다.즉, 독일은 기술적 안전성을 뒷받침하는 제도적 통제와 투명성 확보를 신뢰의 핵심 조건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일본은 납 제련공장을 에코타운(Eco-town)이라는 통합 환경산업단지 안에만 유치하도록 유도한다.이 에코타운 내에서는 폐기물 재활용과 에너지화 시설이 함께 운영되며, 견학 프로그램, 환경교육센터 등 지역사회와의 연결 통로도 마련되어 있다.공장이라는 시설이 지역사회로부터 단절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산업과 주민 사이에 일정한 신뢰가 형성될 수 있는 구조를 제도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56e1b4283808acca001aea8159c07927_1750035919_9221.jpg
미국 캘리포니아는 과거 납 재활용 업체인 Exide 공장에서의 납 분진 누출 사고이후, 제도 개혁을 단행했다.환경보호청(EPA)은 유해 산업의 신규 설립 시 지역 환경 영향 보고서(EIA)제출을 의무화했으며, 사고 발생에 대비한 기업 책임보험제도도 도입되었다.단순히 사후 처벌에 의존하지 않고, 사전 정보공개와 재정적 책임 이행을 시스템적으로 강제한 것이다.


이처럼 선진국들은 ‘기술이 충분하다’는 주장을 신뢰의 조건으로 삼지 않는다.그들은 무엇보다, 신뢰를 만드는 장치를 먼저 깔았다. 그리고 그 신뢰는 단지 기업의 말이 아니라, 제도, 정보, 감시, 투명성, 시민의 참여 구조를 먼저 설계했다.
그리고 바로 그 구조 안에서 산업과 환경이 공존할 수 있는 최소한의 합의가 시작된다.


행정의 판단이 아닌, 지혜를 요구받는 시대
이번 사건에서 영주시는 분명 조심스러운 결정을 내렸다. 지역의 불안을 외면하지 않은, 환경을 우선한 태도였다. 그러나 동시에 드러난 것은, 절차적 법 논리에 대응하기 위한 행정의 한계다.주민 설명회, 정보공개, 감시체계 마련 등 공정성과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장치들이 미흡했다는 점은 뼈아프게 남는다.


오늘날의 행정은 단순한 '허가냐, 불허냐'의 구도에 머물 수 없다.이제 행정이 다뤄야 할 핵심 질문은 이렇다.
“허가 이후에, 우리는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가?”

선택을 묻지 말고, 신뢰를 설계하라
납공장은 산업과 환경 사이에 선 하나의 사건일 뿐이다. 그러나 이 사건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재생과 위험은 공존할 수 있는가?


그리고 정답은 선택이 아니다. 조건이다.어떤 조건 아래서 이 산업이 사회로 들어올 수 있는가.어떤 구조 아래서 이 환경이 지켜질 수 있는가.
공장은 하나의 시설이 아니라, 공동체와 맺는 새로운 계약의 방식이어야 한다.산업이 필요하다면, 그 산업이 지역에 들어오는 방식을 바꿔야 한다.환경이 우선이라면, 그 우선순위가 지속가능한 구조로 작동해야 한다.


이제 행정은 법과 주민 사이에서 선택이 아닌, 지혜를 발휘할 때다.그 지혜는 서류 위의 단호함이 아니라, 마을 회관에서 눈을 마주치고 설명할 수 있는 용기에서, 전문 용어가 아니라 생활의 언어로 책임을 말할 수 있는 정직함에서시작된다.


산업의 논리는 강력하지만, 삶은 수치가 아니라 감각으로 움직인다.그래서 진짜 선택은, 한 장의 허가증이 아니라, 그 과정을 함께 걸어간 경험 속에서 시민이 스스로 내리는 것이다.

최신기사

○ 주낙영 경주시장은 4일 오전 10시 30분 대회의실에서 이통장연합회 분기회의에 참석한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4일 오전 10시 30분 대회의실에서 이통장연합회 분기회의에 참석한다.

낙동강 및 안동댐 상류 퇴적 중금속 정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조속한 대응을 강력히 촉구한다!

낙동강 및 안동댐 상류 퇴적 중금속 정화를 위한정부 차원의 조속한 대응을 강력히 촉구한다!   낙동강은 영남권 1,300만 주민의 생명줄이자 삶의 터전이며, 그 상류에 위치한 안동댐은 경북 북부 지역의 식수, 농업, 생활을 책임지는 핵심 기반이자 생명의 원천이며, 국가 수자원의 생태적 거점이다.그러나 불행하게도 현재 안동댐과 낙동강 상류 수계는 수십 년간 축적된 중금속 퇴적물로 인해, 심각한 생태계 파괴와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2021년 환경부 정밀조사에 따르면, 낙동강 상류에는 연간 약 8톤의 카드뮴이 유입되고 있으며, 수은·납·아연 등 다수의 중금속 농도 또한 법정 기준을 초과하고 있다.안동댐 내부의 퇴적물 대부분은 ‘매우 나쁨’ 등급에 해당하며, 우기나 갈수기에는 이들 중금속이 하천수에 용출되어 식수와 농업용수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이러한 중금속은 생태계에 축적되어 먹이사슬을 따라 인체로 유입되며, 이타이이타이병, 신장 질환, 신경계 손상 등 회복이 어려운 만성 질환을 유발하고, 결국 생명을 위협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이 사안은 단순한 환경오염을 넘어 국민의 생명권·건강권·물 주권을 침해하는 심각한 사회적 재난임에도 불구하고, 중앙정부의 실질적인 대응은 여전히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주요 오염원 중 하나로 지목된 영풍 석포제련소는 수십 년간 반복적인 환경법 위반을 저질러왔으며, 2014년 이후에만 80건 이상의 행정처분과 형사처벌을 받은 바 있다. 특히 2014년 이전은 통계와 기록조차 남지 않아 사실상 환경감시의 사각지대, ‘무법지대’나 다름없는 상황이었다.이러한 기업은 비윤리적이고 반사회적인 존재로, 이제는 퇴출과 폐쇄, 공장 철거만이 유일한 해답이다.2016년에는 일본 도쿄농공대 와타나베 교수팀의 현장 조사 결과, 국내 일부 연구기관이 오염 실태를 축소·왜곡해왔음이 밝혀졌고, 국내 조사만으로는 신뢰하기 어렵다는 국제적 우려도 제기된 바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기업에 대한 실효성 있는 처벌이나 퇴출 조치는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책임 소재 규명과 피해 배상 역시 지지부진한 상태다.오염의 영향은 단순한 물리적 환경 파괴에 그치지 않는다.안동은 전통문화유산 기반의 관광과 농축산물 생산이 지역경제의 핵심인 지역으로, 물고기 집단 폐사, 철새 서식지 소멸, 녹조 확산, 농산물 기피, 관광객 급감 등의 현상은 지역경제를 뿌리부터 흔들고 있다. 산불과 경기 침체로 이미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민들에게 수질 오염으로 인한 생존 불안까지 더해지며 고통은 날로 가중되고 있다.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안동댐의 관리 주체인 한국수자원공사는 공공기관으로서의 책무를 외면한 채, 오염된 수자원 공급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수질 개선과 정화에 대한 실질적 대응과 책임 있는 자세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이제 이 문제는 열악한 재정 자립도와 인구 소멸 위기에 놓인 지방정부가 단독으로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으며, 국가가 직접 개입하고 전면적으로 책임져야 할 중대한 과제다.따라서, 체계적이고 중장기적인 정화 로드맵 수립과 함께 지역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사업 모델의 마련이 시급하다.이에 안동시의회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강력히 촉구한다.하나. 환경부는 낙동강 상류와 안동댐 일원의 중금속 오염 실태를 종합적으로 재조사하고, 그 결과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라.하나. 낙동강유역환경청과 환경부는 정화사업을 국가 차원의 중점 과제로 삼고, 국비 반영과 연차별 계획 수립을 조속히 시행하라.하나. 정부는 안동시, 관련 지자체와 공동협의체를 구성하고, 실질적 정화방안과 예산·인력 확보 계획을 마련하라.하나. 한국수자원공사는 안동댐의 관리 주체로서 수질 개선 및 퇴적물 정화사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공공기관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다하라.하나. 반복적 환경오염을 야기해 온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해, 엄정한 법적 조치 및 행정 대응에 즉각 착수하라.하나. 정화사업은 지역주민 참여형 뉴딜 모델로 설계하여, 생태 복원과 지역경제 회복을 동시에 실현하라.   2025년 6월 19일안동시의회

청송 풋사과소금, 협약 통해 본격 상용화

청송군농업기술센터는 13일, 경국대학교 및 영농조합법인 한국맥꾸룸과 함께 ‘풋사과소금’에 대한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청송의 대표 특산물인 사과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가공품 개발의 일환으로, 지역 농산물 가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추진되었다. 2024년 청송군은 경국대학교에 사과 가공품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을 의뢰하여 ‘풋사과소금’과 ‘풋사과식초과립’ 개발에 성공했고, 해당 기술은 청송군을 주관기관으로 하여 특허 출원되었다. 이후 2025년 4월에는 기술이전 공고가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 청송 지역 내 장류 전문업체인 한국맥꾸룸이 ‘풋사과소금’ 기술이전 대상 업체로 최종 선정되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맥꾸룸은 경국대학교의 기술 컨설팅을 바탕으로 ‘청송풋사과소금’ 제품을 본격적으로 생산·판매할 계획이다. 특히, 풋사과소금은 새로운 가공품으로 개발할 ‘청송사과김’의 원료로 활용될 예정이며, 기존 전통 장류 제품의 원료 소금을 대체함으로써 차별화된 프리미엄 제품 개발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한편, 함께 개발된 ‘풋사과식초과립’ 기술은 OEM 방식으로 생산되어 위탁 판매될 예정으로, 향후 청송 농산물 가공품 브랜드의 다각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이번 기술이전은 지역 농산물의 가치를 높이고, 청송만의 특색 있는 식품 산업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대학 및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가공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실질적인 농가 소득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16일 가톨릭상지대에서 열리는 가톨릭상지대 대학돌봄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석한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16일 가톨릭상지대에서 열리는 가톨릭상지대 대학돌봄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