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경제 (김정복기자)임종득 국회의원 ....안보파괴 행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

등록 :2024-08-05    조회수 330

최고관리자기자

본문

임종득 국회의원 ....안보파괴 행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

db20e79df2cad21f066fef2cf717d3e4
사진 = 국회의원 임종득(봉화.영주.영양)

 임종득 국회의원 기자회견문

존경하는 국민여러분! 국민의힘 임종득 의원입니다.

어제 뉴스에, 지난 문재인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 대북공작국 소속 한 간부가 정보원 수십 명의 명단을 유출한 의혹에 대해, 現정부 들어서야 조사에 나선 사실이 보도되었습니다.

이후, 활동 중이던 휴민트 정보원 절반이 발각돼 북한에서 처형당한 것으로 전해집니다.그러나 문재인 정부가 국정원의 대공수사권을 박탈해 강제수사권이 없어 사건은 유야무야됐다고 합니다.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얼마 전에는 해외 대북 군사정보를 수집하고 첩보 업무를 담당하는 국군정보사령부에서 기밀정보 여러 건이 외부로 넘어가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어제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이 정보사 기밀유출사건 관련 기자회견을 통해 윤석열 정부에게 책임을 떠넘겼는데, 실제로 우리 정보기관들이 왜 이렇게 무너지게 되었는지 그 원인을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로 이어진, 소위 좌파 정부가 국정원과 방첩사령부 등 국가정보기관 시스템을 약화시킨 것을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습니다.실제로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 당시에,대북공작 업무를 거의 못하게 했고, 대북 심리전을 담당하던 부서를 반으로 축소해 버렸으며, 진행 중이던 '일심회' 간첩 수사를 중단시키는가 하면, 국정원의 대공수사권을 박탈하고, 국내정보 분야를 폐지했으며, 정보업무 경험이 전혀 없는 직업 정치인을 원장으로 임명했습니다.특히 문재인 정부는 적폐 청산이라는 미명아래 351명의 국정원 전·현직 직원을 조사하였으며, 이 외에도 100여 명이 훨씬 넘는 국정원 직원들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해 총 500명 가까운 국정원 직원들이 고초를 겪었습니다. 또한 문재인 정부 때 기무사의 '계엄 대비 문건'을 '쿠데타 문건'으로 침소봉대해 기무사 인력의 30%에 해당하는 1400여 명의 방첩인력 대다수를 방출했습니다.안보는 공기와 같아서 여야가 없고, 오로지 국익만 있습니다. 나라를 생각한다면, 더 이상 이래서는 안됩니다.이에 우리 국민의힘 국방위원들은 다음 세 가지를 야당에 제안합니다.

첫째, 더불어민주당이 망가뜨린 국정원의 대공 보안정보 기능을 즉시 부활시켜야 합니다. 야당은 국정원의 대공 보안정보 기능과 대공수사권을 원상회복 시키는 데 함께 나서주실 것을 요청드립니다.

둘째, ‘적국’을 ‘외국’까지 넓히는 형법과 군형법개정안의 신속한 통과에 협조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개정안은 지난 21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그 필요성을 모두 공감했고, 이번 국회에서도 이미 여러 여야 의원님들이 해당 개정안을 발의한 만큼 조속한 통과를 위해 나서주실 것을 요청드립니다. 셋째, 국정원 대공수사권 박탈, 가짜 계엄문건을 이용한 기무사 기능 약화, 탈북자들이 주장하는 남한내 간첩의 활동 등에 대한 국정조사 실시를 요구합니다.존경하는 국민여러분!이를 통해 우리 내부의 안보망, 정보시스템을 새롭게 재정립하는 계기로 삼읍시다.우리 22대 국회가 한마음 한뜻으로 대북, 대외 정보망을 다시 튼튼히 하고, 우리 내부를 흔드는 세력을 척결할 수 있도록 국민께서도 함께 힘을 보태 주십시오.감사합니다.

국회의원 임종득 기자회견문

 

최신기사

선고기일 확정

2024헌나8 대통령(윤석열) 탄핵사건에 대한 선고가 2025.4.4(금) 오전11시 헌법 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일을 예정입니다.선고기일에 방송사의 생중계와 일반인 방청이 허용됩니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 시상식에 참석한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에 참석한다. . 

이철우 도지사, 신속한 피해조사와 주거 안정 대책 바로 마련할 것

이철우 도지사는 29일 오전 경북도청 화백당에서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신속한 피해 조사와 이재민 구호 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이 도지사는 “도, 시군, 행안부 부처와 협력해 피해 조사를 빨리하고, 복구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며 “시군에 발생한 피해를 세밀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시군과 함께 인력을 투입하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체육관 등 대피시설에 대피한 이재민 한 분 한 분을 생각해 조속히 주거 안정 대책을 마련하라”며 “금일중으로 당장 시행 가능한 주거 마련 대책은 즉각 조치하고 추가로 지원할 부분은 오늘 중으로 즉시 결정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29일 임시주택 26동을 이동 거리와 피해 규모 등을 고려해 안동시는 일직면과 길안면에 각 5동, 영덕은 지품면 농협부지에 6동, 영덕읍 농공단지 내 5동, 청송군은 진보면 5동을 먼저 설치한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피해 복구 통해 빠른 일상 회복이 가능하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고 원형복구 방식을 넘어 이상기후에 의한 재난에 대비한 미래형 개선복구 대책을 만들 것”이라며 “피해 지역과 관련해서는 당장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집중적으로 행정력을 총동원하라”고 말했다.   이어서 “어제 주불 진화가 된 이후 이제 중요한 것은 잔불 진화와 산불확산을 막는 것”이라며 “잔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청송군, 산불피해 지원 재난예비비 20억 원 긴급 투입

청송군(군수 윤경희)은 지난 25일 발생한 대형산불로 주거지를 잃은 주민들을 위해 재난예비비 20억 원을 우선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청송군은 지난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안동을 넘어 청송까지 확산되면서 현재까지 9,000ha가 넘는 관할지역이 소실되었고, 700채가 넘는 주택과 상가, 창고가 폐허가 되었다. 이번 예비비는 화마로 집을 잃은 주민들에게 임시주거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자금으로 긴급 투입된다. 또한 청송군은 재난예비비 긴급 투입과 함께 현재 진행 중인 2025년 제1회 추경예산 편성계획을 전면 보류하고, 청송군의회와 협의하여 산불피해복구와 지원을 위한 재원으로 집중 편성하여 재해복구에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피해지역 주민들이 일상으로 조속히 복귀할 수 있도록 재난예비비를 긴급히 투입하고, 피해시설 철거와 농작물 복구, 기반시설 정비 등 피해복구에 전력을 쏟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