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경제 채상병특검법' 언제까지 무한정쟁 반복할건가

등록 :2024-07-07    조회수 354

최고관리자기자

본문

채상병특검법' 언제까지 무한정쟁 반복할건가
  | 기사입력 2024-07-04 20:02:11
82614be165a40355422cd237fb2b6fa0
심영우기자 =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무제한토론(필리버스터) 24시간 경과 후 중단을 요구한 우원식 국회의장에게 항의하고 있다. 2024.7.4
6월 임시국회 마지막 날인 4일 본회의에서 '순직해병 수사방해 및 사건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법안'이 거야(巨野) 주도로 강행 처리됐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해당 법안에 반대하며 전날 오후부터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을 통한 합법적 의사진행 방해)에 들어갔으나,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이를 강제 종결하고 법안을 단독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법안은 정부로 넘어가게 됐으나 윤석열 대통령은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확실시된다. 21대 국회 막바지였던 지난 5월 채상병 특검법안을 둘러싸고 거야의 단독 처리와 대통령의 거부권이 정면충돌했던 상황의 '데자뷔'를 보는 듯하다.젊은 병사의 순직 사건과 관련한 특검 문제를 놓고 또다시 무한 정쟁이 반복되는 것은 국가적으로 불행이 아닐 수 없다. 여야 모두 타협과 절충의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경찰의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특검을 도입하는 것이 적절치 못하다는 대통령실과 여당의 공식 입장도 이해 가지만, 국민 10명 중 6명꼴로 채상병 특검 도입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가 최근 나오기도 했다. 법리와 원칙을 넘어 국민의 마음을 헤아리고 의구심을 풀어주는 것 역시 국정을 책임진 여권의 책무라고 할 수 있다. 야당도 특검을 힘으로만 밀어붙인다면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국민이 수긍할 수 있는 타협의 접점이 마련돼야 한다.정치적 논란이 많은 법안일수록 시비 소지를 최대한 없애야 한다. 이런 점에서 국회를 통과한 민주당이 발의한 특검법안을 일부 수정한 중재안이 정치권에서 대두되고 있는 점을 주목한다. 국회를 통과한 법안에는 민주당과 사실상 조국혁신당이 각각 1명씩 특검 후보를 추천하고 대통령이 이중 1명을 임명하도록 돼있다. 가장 큰 독소조항이라는 지적이 있다. 공정한 특검 선정이 논란을 줄일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수정할 필요성이 있다. 당권주자로 나선 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대위원장이 이 문제에 대한 수정이 있으면 특검법안을 여당이 발의할 수도 있음을 주장해 주목받았다.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도 대한변호사협회에 특검 추천권을 부여하는 안을 내놨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특검후보 추천권을 원내 다른 비교섭단체 정당이나 변협 등에 넘겨주겠다고 했다. 타협의 공간이 조금이나마 열린 셈이다. 지금 상태로라면 채상병 특검법안을 둘러싼 무한정쟁을 피할 수 없다. 민생을 외면한 국회를 여도, 야도 더는 만들지 말아야 한다.국민의힘이 거야의 입법 독주와 국회의장의 의사일정 진행방식에 항의하며 5일로 예정된 22대 국회 개원식에 불참하겠다고 선언하고 대통령의 개원식 불참을 요청함에 따라 국회 개원식 일정 자체가 무산됐다. 22대 국회가 임기를 시작한 지 한 달이 넘도록 끝없는 정쟁과 대치만 되풀이하는 불행한 사태가 계속되고 있는 것을 지켜보기 힘들다. 협치의 무대가 기대됐던 22대 국회가 21대 국회보다 더 살벌한 싸움판으로 변질되는 모습을 보는 국민의 속은 타들어 가고 있다. 여야는 지금이라도 '정치'를 복원해야 한다.

최신기사

선고기일 확정

2024헌나8 대통령(윤석열) 탄핵사건에 대한 선고가 2025.4.4(금) 오전11시 헌법 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일을 예정입니다.선고기일에 방송사의 생중계와 일반인 방청이 허용됩니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 시상식에 참석한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에 참석한다. . 

이철우 도지사, 신속한 피해조사와 주거 안정 대책 바로 마련할 것

이철우 도지사는 29일 오전 경북도청 화백당에서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신속한 피해 조사와 이재민 구호 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이 도지사는 “도, 시군, 행안부 부처와 협력해 피해 조사를 빨리하고, 복구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며 “시군에 발생한 피해를 세밀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시군과 함께 인력을 투입하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체육관 등 대피시설에 대피한 이재민 한 분 한 분을 생각해 조속히 주거 안정 대책을 마련하라”며 “금일중으로 당장 시행 가능한 주거 마련 대책은 즉각 조치하고 추가로 지원할 부분은 오늘 중으로 즉시 결정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29일 임시주택 26동을 이동 거리와 피해 규모 등을 고려해 안동시는 일직면과 길안면에 각 5동, 영덕은 지품면 농협부지에 6동, 영덕읍 농공단지 내 5동, 청송군은 진보면 5동을 먼저 설치한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피해 복구 통해 빠른 일상 회복이 가능하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고 원형복구 방식을 넘어 이상기후에 의한 재난에 대비한 미래형 개선복구 대책을 만들 것”이라며 “피해 지역과 관련해서는 당장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집중적으로 행정력을 총동원하라”고 말했다.   이어서 “어제 주불 진화가 된 이후 이제 중요한 것은 잔불 진화와 산불확산을 막는 것”이라며 “잔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청송군, 산불피해 지원 재난예비비 20억 원 긴급 투입

청송군(군수 윤경희)은 지난 25일 발생한 대형산불로 주거지를 잃은 주민들을 위해 재난예비비 20억 원을 우선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청송군은 지난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안동을 넘어 청송까지 확산되면서 현재까지 9,000ha가 넘는 관할지역이 소실되었고, 700채가 넘는 주택과 상가, 창고가 폐허가 되었다. 이번 예비비는 화마로 집을 잃은 주민들에게 임시주거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자금으로 긴급 투입된다. 또한 청송군은 재난예비비 긴급 투입과 함께 현재 진행 중인 2025년 제1회 추경예산 편성계획을 전면 보류하고, 청송군의회와 협의하여 산불피해복구와 지원을 위한 재원으로 집중 편성하여 재해복구에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피해지역 주민들이 일상으로 조속히 복귀할 수 있도록 재난예비비를 긴급히 투입하고, 피해시설 철거와 농작물 복구, 기반시설 정비 등 피해복구에 전력을 쏟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