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환경 ‟청정 봉화 생활터전과 주민 건강 해치는 폐기물매립장 건립 결사 반대"

등록 :2024-11-27    조회수 275

최고관리자기자

본문

 

cf648df2e09410d95cf2a3ea3ede1f64_1732687448_9673.jpg
봉화 도촌리에 건립 예정인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신청안이 대구지방환경청에 제출된 사실이 알려지자 시설 설치를 반대하는 주민들이 거리 행진까지 나서며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봉화읍 도촌리 357번지 일원(부지면적 249,000, 매립면적 83,311)사업장(지정)폐기물 매립시설(지붕구조 관리형 매립시설)’이 지난 114일에 대구지방환경청에 신청 서류가 제출됨에 따라 도촌리 지정폐기물 매립 반대 비상대책위(가칭)27일 봉화읍 엄약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우리는 목숨 걸고 청정봉화(고향)을 지키고 주민 건강을 위협하는 폐기물매립장 건립을 반대한다"고 외쳤다.

 

cf648df2e09410d95cf2a3ea3ede1f64_1732687467_6565.jpg
폐기물 매립시설 설치관련 보고에 따르면 매립 폐기물은 소각재 및 연소재
, 광재, 폐금속류, 폐합성고분자 화합물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는 "폐기물 매립시설 설치 예정 부지는 2020년 소각시설 설치를 추진하다 주민들의 적극 반대로 무산된 후 매립시설로 변경 신청한 것과 다름없다고 외쳤다.

 

cf648df2e09410d95cf2a3ea3ede1f64_1732687484_1557.jpg
또한
"매립 기간이 2027년부터 2042년까지 15년간 이라며 그에 따른 환경오염과 침출수 문제 등 청정봉화에 심각한 환경파괴의 요인이 되고 이는 결국 주민 생존권 마저 위협하게 될 것이다고 지적했다.


지난 25일 문단역 광장에서 진행된 봉화군민 긴급 간담회에서 환경오염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온 가운데 참석자들은 "전국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봉화로 모으는 건 말도 안 되는 소리다"라며 "이 지역 인근에는 하천이 있어 유해 물질 유입이 우려되고 이 정도 규모의 폐기물처리장이 들어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cf648df2e09410d95cf2a3ea3ede1f64_1732687498_8663.jpg
또한 간담회에 참석한 박현국 봉화군수와 임종득 국회의원 마저 폐기물 매립시설 설치에 대해 우려스럽다는 반대의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다
.

 

추현기 봉화군 문단2리 이장은 "봉화읍 도촌리 주민들은 폐기물매립시설 설치안을 반대하며, 이대로 진행된다면 전국 환경운동 단체들과 공동 대응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들은 이날 집회 장소에서부터 약 1.5km 거리를 플래카드를 들고 거리 행진을 이어 갔다.

최신기사

선고기일 확정

2024헌나8 대통령(윤석열) 탄핵사건에 대한 선고가 2025.4.4(금) 오전11시 헌법 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일을 예정입니다.선고기일에 방송사의 생중계와 일반인 방청이 허용됩니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 시상식에 참석한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에 참석한다. . 

이철우 도지사, 신속한 피해조사와 주거 안정 대책 바로 마련할 것

이철우 도지사는 29일 오전 경북도청 화백당에서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신속한 피해 조사와 이재민 구호 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이 도지사는 “도, 시군, 행안부 부처와 협력해 피해 조사를 빨리하고, 복구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며 “시군에 발생한 피해를 세밀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시군과 함께 인력을 투입하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체육관 등 대피시설에 대피한 이재민 한 분 한 분을 생각해 조속히 주거 안정 대책을 마련하라”며 “금일중으로 당장 시행 가능한 주거 마련 대책은 즉각 조치하고 추가로 지원할 부분은 오늘 중으로 즉시 결정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29일 임시주택 26동을 이동 거리와 피해 규모 등을 고려해 안동시는 일직면과 길안면에 각 5동, 영덕은 지품면 농협부지에 6동, 영덕읍 농공단지 내 5동, 청송군은 진보면 5동을 먼저 설치한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피해 복구 통해 빠른 일상 회복이 가능하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고 원형복구 방식을 넘어 이상기후에 의한 재난에 대비한 미래형 개선복구 대책을 만들 것”이라며 “피해 지역과 관련해서는 당장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집중적으로 행정력을 총동원하라”고 말했다.   이어서 “어제 주불 진화가 된 이후 이제 중요한 것은 잔불 진화와 산불확산을 막는 것”이라며 “잔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청송군, 산불피해 지원 재난예비비 20억 원 긴급 투입

청송군(군수 윤경희)은 지난 25일 발생한 대형산불로 주거지를 잃은 주민들을 위해 재난예비비 20억 원을 우선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청송군은 지난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안동을 넘어 청송까지 확산되면서 현재까지 9,000ha가 넘는 관할지역이 소실되었고, 700채가 넘는 주택과 상가, 창고가 폐허가 되었다. 이번 예비비는 화마로 집을 잃은 주민들에게 임시주거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자금으로 긴급 투입된다. 또한 청송군은 재난예비비 긴급 투입과 함께 현재 진행 중인 2025년 제1회 추경예산 편성계획을 전면 보류하고, 청송군의회와 협의하여 산불피해복구와 지원을 위한 재원으로 집중 편성하여 재해복구에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피해지역 주민들이 일상으로 조속히 복귀할 수 있도록 재난예비비를 긴급히 투입하고, 피해시설 철거와 농작물 복구, 기반시설 정비 등 피해복구에 전력을 쏟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