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환경 ( 월드환경일보 기동취재부)안동시 앙실 산업 폐기물 언제까지 방치하나?

등록 :2024-10-28    조회수 216

최고관리자기자

본문

앙실 산업 폐기물 언제까지 방치하나?


  • 234296eeb02eced00fdb6bb2051bb465_1730079885_6232.png

본기자가 제보를 받고 폐기물 현장을 찾아간 것이 지난 7월 현장을 보고 깜짝놀랐다 정확한 페기물 성분은 모르지만 산업 폐기물로 보이는 페기물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다.

현장주소 (앙실) 안동시 송현동791-25


폐기물이 방치 한지 일년이 넘는다고 한다. 가림막도 제되로 덮어 놓은 곳도 없다.


제천에서 발생한 폐기물이 어떻게 해서 안동땅에 이렇게 방치되고 있는걸까?

제보를 받고 현장에 갔을때 중장비가 서 있었고 주변사람들 얘기로는 일부는 반출되어 나갔고 일부는 현장 땅에 파뭍은 것도 많다고 한다.


다음날 다시 현장에 가서 확인을 하고 안동시에 자원순환과에 찾아가서 어떻게 처리 할 것인지 물어 보았다.

산업 폐기물 갖다 놓은 사람은 제천 페기물 처리장이고 땅을 임대하여 사용중인 사람은 돈을 받고 페기물을 보관하다가 죽었다고 한다. 


234296eeb02eced00fdb6bb2051bb465_1730080021_7122.jpg
폐기물을 받은 당사자가 죽고 없어서 기소권이 없다고 하였고, 

그래서 땅 주인하고 처리 방안을 모색 중이다. 라고 하며, 안동시 담당공무원은 8월 말까지 깨끗하게 모든 정리를 하겠으니 지켜봐 달라고 했다.

그러나 벌서 8월말도 지나고 석달이 더 지나 가지만 깨끗하게 정리가 안되고 있다.



234296eeb02eced00fdb6bb2051bb465_1730080372_4113.jpg
비가 조금만 와도 근처에 있는 다른 사업장 지하수에 폐기물 오염수가 섞여서 검은색의 물이 나와서 못쓰고,

다시 9백만원을 들여 새 지하수를 뚫었다고 하며 새로 뚫은 지하수 관정도 오염이 될까봐 걱정이 많다.

하물며 바로 옆 뚝방 하나 건너 낙동강인데 낙동강은 어떨까?



오염된 침출수가 지하로 흘러 내려 가면서 주위는 모두 오염 되었을게 당연하고 하루가 시급한데 담당 공무원들은 땅주인 걱정하는 말만 하고 있어 귀가 막힌다.

안동시 담당자는 폐기물을 받아 놓은 사람이 죽어서 기소권이 없다면서 땅주인이 몇 억을 들여 치우고 있으니 기다려 달라~ 며칠전 비가와서 말려서 치우겠다. 고 한다고 땅주인을 두둔하며, 차일 피일 미루고 있어 악취와 오염수로 주변 사람들이 많은 피해를 보고 있고, 폐기물을 쌓아 놓은지 1년이 다 된다고 하며 발암 물질이 있다는 소리도 들었다고 한다

 

5.png


234296eeb02eced00fdb6bb2051bb465_1730080443_4414.png
올 여름 비가 많이 내렸다. 천막 가림막도 안해 놯으니 얼마나 많은 침출수가 생겨 을지는 짐작이 간다.

안동시는 누구를 위해 일하는 곳인가? 15만 안동시민은 호구인가?

 

20240921_163929.jpg

      (2024년 9월 21일 사진)

쌓여있던 폐기물이 수천톤이 넘는데 그 폐기물이 어디로 가서 어떻게 처리 되고 있는지 정말 궁금하다.

안동시는 폐기물 처리 과정을 철처하게 관리 감독 하여야 할 것이며, 시민들에게 명확하게 밝혀주기 바란다

안동시민의 건강을 생각 한다면 하루라도 빨리 깨끗하게 정리 해주길 바란다.



첨부파일

최신기사

선고기일 확정

2024헌나8 대통령(윤석열) 탄핵사건에 대한 선고가 2025.4.4(금) 오전11시 헌법 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일을 예정입니다.선고기일에 방송사의 생중계와 일반인 방청이 허용됩니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 시상식에 참석한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에 참석한다. . 

이철우 도지사, 신속한 피해조사와 주거 안정 대책 바로 마련할 것

이철우 도지사는 29일 오전 경북도청 화백당에서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신속한 피해 조사와 이재민 구호 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이 도지사는 “도, 시군, 행안부 부처와 협력해 피해 조사를 빨리하고, 복구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며 “시군에 발생한 피해를 세밀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시군과 함께 인력을 투입하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체육관 등 대피시설에 대피한 이재민 한 분 한 분을 생각해 조속히 주거 안정 대책을 마련하라”며 “금일중으로 당장 시행 가능한 주거 마련 대책은 즉각 조치하고 추가로 지원할 부분은 오늘 중으로 즉시 결정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29일 임시주택 26동을 이동 거리와 피해 규모 등을 고려해 안동시는 일직면과 길안면에 각 5동, 영덕은 지품면 농협부지에 6동, 영덕읍 농공단지 내 5동, 청송군은 진보면 5동을 먼저 설치한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피해 복구 통해 빠른 일상 회복이 가능하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고 원형복구 방식을 넘어 이상기후에 의한 재난에 대비한 미래형 개선복구 대책을 만들 것”이라며 “피해 지역과 관련해서는 당장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집중적으로 행정력을 총동원하라”고 말했다.   이어서 “어제 주불 진화가 된 이후 이제 중요한 것은 잔불 진화와 산불확산을 막는 것”이라며 “잔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청송군, 산불피해 지원 재난예비비 20억 원 긴급 투입

청송군(군수 윤경희)은 지난 25일 발생한 대형산불로 주거지를 잃은 주민들을 위해 재난예비비 20억 원을 우선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청송군은 지난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안동을 넘어 청송까지 확산되면서 현재까지 9,000ha가 넘는 관할지역이 소실되었고, 700채가 넘는 주택과 상가, 창고가 폐허가 되었다. 이번 예비비는 화마로 집을 잃은 주민들에게 임시주거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자금으로 긴급 투입된다. 또한 청송군은 재난예비비 긴급 투입과 함께 현재 진행 중인 2025년 제1회 추경예산 편성계획을 전면 보류하고, 청송군의회와 협의하여 산불피해복구와 지원을 위한 재원으로 집중 편성하여 재해복구에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피해지역 주민들이 일상으로 조속히 복귀할 수 있도록 재난예비비를 긴급히 투입하고, 피해시설 철거와 농작물 복구, 기반시설 정비 등 피해복구에 전력을 쏟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