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행정 영주시, 세계적 베어링산업 허브도시로 ‘한 걸음 더’ 도약 22일, ‘하이테크베어링기술센터 제조지원동 준공식’ 개최 시험평가, 제품설계, 가공공정, 품질평가까지 전주기적 맞춤형 지원 가

등록 :2024-10-22    조회수 305

최고관리자기자

본문

d67d23312ef3c0fabc7659b1e5b08785_1729594689_52.jpg
경북 영주시는 국내 유일의 베어링 전문 연구기관인 하이테크베어링기술센터에 
제조지원동을 추가로 건립하며 세계적인 베어링산업 허브로의 도약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22일 열린 준공식에는 이정우 경북도 메타AI과학국장성지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본부장이재훈 영주부시장김병기 영주시의회 의장 등 각계 인사와 기업체 대표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b6ee7fc44e627e5bea14ca005645b3e5_1729593319_5918.jpg


하이테크베어링기술센터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소속의 연구기관으로베어링 산업에서 필요한 소재부터 부품완제품까지 시험평가 및 기술지원을 제공하며국제규격에 맞춘 시험평가체계를 지원한다.


이번 제조지원동 준공을 통해 영주시가 세계적 베어링산업 중심지로 발돋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시험평가와 함께 제품설계가공 공정품질평가까지 전주기적 맞춤형 기업지원이 가능해지며관련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의 일환으로국비 100억 원을 포함한 총 226억 원이 투입됐다제조지원동은 연면적 1977㎡ 규모로장비구축과 함께 베어링산업 관련 기업의 기술 지원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게 된다.

영주시와 생기원은 지난 3월 지방소멸 위기극복 상생협력 모델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하고기업 유치와 산업 육성을 위한 협력사업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또한 매년 2회 산··연 네트워크 구축 워크숍을 개최하여 정보교류와 협력체계를 긴밀히 유지하고 있다.


성지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본부장은 베어링은 물론모빌리티 핵심부품에 대한 트라이볼로지 특성 평가 기술 연구로도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영주시와 협력해 지역산업을 분석하고실용화 기술 중심의 기업 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재훈 영주부시장은 이번 제조지원동 준공을 계기로 베어링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영주시가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영주 첨단베어링 국가산업단지는 총사업비 2964억 원이 투입돼 적서동과 문수면 일대에 118(약 36만평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2027년 준공을 목표로 조성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최신기사

선고기일 확정

2024헌나8 대통령(윤석열) 탄핵사건에 대한 선고가 2025.4.4(금) 오전11시 헌법 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일을 예정입니다.선고기일에 방송사의 생중계와 일반인 방청이 허용됩니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 시상식에 참석한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3일 오전 11시 더 플라자호텔에 2025 대한민국 최고 경영대상에 참석한다. . 

이철우 도지사, 신속한 피해조사와 주거 안정 대책 바로 마련할 것

이철우 도지사는 29일 오전 경북도청 화백당에서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신속한 피해 조사와 이재민 구호 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이 도지사는 “도, 시군, 행안부 부처와 협력해 피해 조사를 빨리하고, 복구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며 “시군에 발생한 피해를 세밀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시군과 함께 인력을 투입하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체육관 등 대피시설에 대피한 이재민 한 분 한 분을 생각해 조속히 주거 안정 대책을 마련하라”며 “금일중으로 당장 시행 가능한 주거 마련 대책은 즉각 조치하고 추가로 지원할 부분은 오늘 중으로 즉시 결정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29일 임시주택 26동을 이동 거리와 피해 규모 등을 고려해 안동시는 일직면과 길안면에 각 5동, 영덕은 지품면 농협부지에 6동, 영덕읍 농공단지 내 5동, 청송군은 진보면 5동을 먼저 설치한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피해 복구 통해 빠른 일상 회복이 가능하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고 원형복구 방식을 넘어 이상기후에 의한 재난에 대비한 미래형 개선복구 대책을 만들 것”이라며 “피해 지역과 관련해서는 당장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집중적으로 행정력을 총동원하라”고 말했다.   이어서 “어제 주불 진화가 된 이후 이제 중요한 것은 잔불 진화와 산불확산을 막는 것”이라며 “잔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청송군, 산불피해 지원 재난예비비 20억 원 긴급 투입

청송군(군수 윤경희)은 지난 25일 발생한 대형산불로 주거지를 잃은 주민들을 위해 재난예비비 20억 원을 우선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청송군은 지난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안동을 넘어 청송까지 확산되면서 현재까지 9,000ha가 넘는 관할지역이 소실되었고, 700채가 넘는 주택과 상가, 창고가 폐허가 되었다. 이번 예비비는 화마로 집을 잃은 주민들에게 임시주거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자금으로 긴급 투입된다. 또한 청송군은 재난예비비 긴급 투입과 함께 현재 진행 중인 2025년 제1회 추경예산 편성계획을 전면 보류하고, 청송군의회와 협의하여 산불피해복구와 지원을 위한 재원으로 집중 편성하여 재해복구에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피해지역 주민들이 일상으로 조속히 복귀할 수 있도록 재난예비비를 긴급히 투입하고, 피해시설 철거와 농작물 복구, 기반시설 정비 등 피해복구에 전력을 쏟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