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file_get_contents(https://graph.facebook.com/?id=&scrape=true):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0 Bad Request in /home/r1332/public_html/theme/basic/head.sub.php on line 55
( 월드환경일보 기동취재부)안동시 앙실 산업 폐기물 언제까지 방치하나? > 뉴스 | 월드환경일보

기획 환경 ( 월드환경일보 기동취재부)안동시 앙실 산업 폐기물 언제까지 방치하나?

등록 :2024-10-28    조회수 323

최고관리자기자

본문

앙실 산업 폐기물 언제까지 방치하나?


  • 234296eeb02eced00fdb6bb2051bb465_1730079885_6232.png

본기자가 제보를 받고 폐기물 현장을 찾아간 것이 지난 7월 현장을 보고 깜짝놀랐다 정확한 페기물 성분은 모르지만 산업 폐기물로 보이는 페기물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다.

현장주소 (앙실) 안동시 송현동791-25


폐기물이 방치 한지 일년이 넘는다고 한다. 가림막도 제되로 덮어 놓은 곳도 없다.


제천에서 발생한 폐기물이 어떻게 해서 안동땅에 이렇게 방치되고 있는걸까?

제보를 받고 현장에 갔을때 중장비가 서 있었고 주변사람들 얘기로는 일부는 반출되어 나갔고 일부는 현장 땅에 파뭍은 것도 많다고 한다.


다음날 다시 현장에 가서 확인을 하고 안동시에 자원순환과에 찾아가서 어떻게 처리 할 것인지 물어 보았다.

산업 폐기물 갖다 놓은 사람은 제천 페기물 처리장이고 땅을 임대하여 사용중인 사람은 돈을 받고 페기물을 보관하다가 죽었다고 한다. 


234296eeb02eced00fdb6bb2051bb465_1730080021_7122.jpg
폐기물을 받은 당사자가 죽고 없어서 기소권이 없다고 하였고, 

그래서 땅 주인하고 처리 방안을 모색 중이다. 라고 하며, 안동시 담당공무원은 8월 말까지 깨끗하게 모든 정리를 하겠으니 지켜봐 달라고 했다.

그러나 벌서 8월말도 지나고 석달이 더 지나 가지만 깨끗하게 정리가 안되고 있다.



234296eeb02eced00fdb6bb2051bb465_1730080372_4113.jpg
비가 조금만 와도 근처에 있는 다른 사업장 지하수에 폐기물 오염수가 섞여서 검은색의 물이 나와서 못쓰고,

다시 9백만원을 들여 새 지하수를 뚫었다고 하며 새로 뚫은 지하수 관정도 오염이 될까봐 걱정이 많다.

하물며 바로 옆 뚝방 하나 건너 낙동강인데 낙동강은 어떨까?



오염된 침출수가 지하로 흘러 내려 가면서 주위는 모두 오염 되었을게 당연하고 하루가 시급한데 담당 공무원들은 땅주인 걱정하는 말만 하고 있어 귀가 막힌다.

안동시 담당자는 폐기물을 받아 놓은 사람이 죽어서 기소권이 없다면서 땅주인이 몇 억을 들여 치우고 있으니 기다려 달라~ 며칠전 비가와서 말려서 치우겠다. 고 한다고 땅주인을 두둔하며, 차일 피일 미루고 있어 악취와 오염수로 주변 사람들이 많은 피해를 보고 있고, 폐기물을 쌓아 놓은지 1년이 다 된다고 하며 발암 물질이 있다는 소리도 들었다고 한다

 

5.png


234296eeb02eced00fdb6bb2051bb465_1730080443_4414.png
올 여름 비가 많이 내렸다. 천막 가림막도 안해 놯으니 얼마나 많은 침출수가 생겨 을지는 짐작이 간다.

안동시는 누구를 위해 일하는 곳인가? 15만 안동시민은 호구인가?

 

20240921_163929.jpg

      (2024년 9월 21일 사진)

쌓여있던 폐기물이 수천톤이 넘는데 그 폐기물이 어디로 가서 어떻게 처리 되고 있는지 정말 궁금하다.

안동시는 폐기물 처리 과정을 철처하게 관리 감독 하여야 할 것이며, 시민들에게 명확하게 밝혀주기 바란다

안동시민의 건강을 생각 한다면 하루라도 빨리 깨끗하게 정리 해주길 바란다.



첨부파일

최신기사

○ 주낙영 경주시장은 4일 오전 10시 30분 대회의실에서 이통장연합회 분기회의에 참석한다.

○ 주낙영 경주시장은 4일 오전 10시 30분 대회의실에서 이통장연합회 분기회의에 참석한다.

낙동강 및 안동댐 상류 퇴적 중금속 정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조속한 대응을 강력히 촉구한다!

낙동강 및 안동댐 상류 퇴적 중금속 정화를 위한정부 차원의 조속한 대응을 강력히 촉구한다!   낙동강은 영남권 1,300만 주민의 생명줄이자 삶의 터전이며, 그 상류에 위치한 안동댐은 경북 북부 지역의 식수, 농업, 생활을 책임지는 핵심 기반이자 생명의 원천이며, 국가 수자원의 생태적 거점이다.그러나 불행하게도 현재 안동댐과 낙동강 상류 수계는 수십 년간 축적된 중금속 퇴적물로 인해, 심각한 생태계 파괴와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2021년 환경부 정밀조사에 따르면, 낙동강 상류에는 연간 약 8톤의 카드뮴이 유입되고 있으며, 수은·납·아연 등 다수의 중금속 농도 또한 법정 기준을 초과하고 있다.안동댐 내부의 퇴적물 대부분은 ‘매우 나쁨’ 등급에 해당하며, 우기나 갈수기에는 이들 중금속이 하천수에 용출되어 식수와 농업용수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이러한 중금속은 생태계에 축적되어 먹이사슬을 따라 인체로 유입되며, 이타이이타이병, 신장 질환, 신경계 손상 등 회복이 어려운 만성 질환을 유발하고, 결국 생명을 위협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이 사안은 단순한 환경오염을 넘어 국민의 생명권·건강권·물 주권을 침해하는 심각한 사회적 재난임에도 불구하고, 중앙정부의 실질적인 대응은 여전히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주요 오염원 중 하나로 지목된 영풍 석포제련소는 수십 년간 반복적인 환경법 위반을 저질러왔으며, 2014년 이후에만 80건 이상의 행정처분과 형사처벌을 받은 바 있다. 특히 2014년 이전은 통계와 기록조차 남지 않아 사실상 환경감시의 사각지대, ‘무법지대’나 다름없는 상황이었다.이러한 기업은 비윤리적이고 반사회적인 존재로, 이제는 퇴출과 폐쇄, 공장 철거만이 유일한 해답이다.2016년에는 일본 도쿄농공대 와타나베 교수팀의 현장 조사 결과, 국내 일부 연구기관이 오염 실태를 축소·왜곡해왔음이 밝혀졌고, 국내 조사만으로는 신뢰하기 어렵다는 국제적 우려도 제기된 바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기업에 대한 실효성 있는 처벌이나 퇴출 조치는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책임 소재 규명과 피해 배상 역시 지지부진한 상태다.오염의 영향은 단순한 물리적 환경 파괴에 그치지 않는다.안동은 전통문화유산 기반의 관광과 농축산물 생산이 지역경제의 핵심인 지역으로, 물고기 집단 폐사, 철새 서식지 소멸, 녹조 확산, 농산물 기피, 관광객 급감 등의 현상은 지역경제를 뿌리부터 흔들고 있다. 산불과 경기 침체로 이미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민들에게 수질 오염으로 인한 생존 불안까지 더해지며 고통은 날로 가중되고 있다.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안동댐의 관리 주체인 한국수자원공사는 공공기관으로서의 책무를 외면한 채, 오염된 수자원 공급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수질 개선과 정화에 대한 실질적 대응과 책임 있는 자세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이제 이 문제는 열악한 재정 자립도와 인구 소멸 위기에 놓인 지방정부가 단독으로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으며, 국가가 직접 개입하고 전면적으로 책임져야 할 중대한 과제다.따라서, 체계적이고 중장기적인 정화 로드맵 수립과 함께 지역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사업 모델의 마련이 시급하다.이에 안동시의회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강력히 촉구한다.하나. 환경부는 낙동강 상류와 안동댐 일원의 중금속 오염 실태를 종합적으로 재조사하고, 그 결과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라.하나. 낙동강유역환경청과 환경부는 정화사업을 국가 차원의 중점 과제로 삼고, 국비 반영과 연차별 계획 수립을 조속히 시행하라.하나. 정부는 안동시, 관련 지자체와 공동협의체를 구성하고, 실질적 정화방안과 예산·인력 확보 계획을 마련하라.하나. 한국수자원공사는 안동댐의 관리 주체로서 수질 개선 및 퇴적물 정화사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공공기관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다하라.하나. 반복적 환경오염을 야기해 온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해, 엄정한 법적 조치 및 행정 대응에 즉각 착수하라.하나. 정화사업은 지역주민 참여형 뉴딜 모델로 설계하여, 생태 복원과 지역경제 회복을 동시에 실현하라.   2025년 6월 19일안동시의회

청송 풋사과소금, 협약 통해 본격 상용화

청송군농업기술센터는 13일, 경국대학교 및 영농조합법인 한국맥꾸룸과 함께 ‘풋사과소금’에 대한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청송의 대표 특산물인 사과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가공품 개발의 일환으로, 지역 농산물 가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추진되었다. 2024년 청송군은 경국대학교에 사과 가공품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을 의뢰하여 ‘풋사과소금’과 ‘풋사과식초과립’ 개발에 성공했고, 해당 기술은 청송군을 주관기관으로 하여 특허 출원되었다. 이후 2025년 4월에는 기술이전 공고가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 청송 지역 내 장류 전문업체인 한국맥꾸룸이 ‘풋사과소금’ 기술이전 대상 업체로 최종 선정되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맥꾸룸은 경국대학교의 기술 컨설팅을 바탕으로 ‘청송풋사과소금’ 제품을 본격적으로 생산·판매할 계획이다. 특히, 풋사과소금은 새로운 가공품으로 개발할 ‘청송사과김’의 원료로 활용될 예정이며, 기존 전통 장류 제품의 원료 소금을 대체함으로써 차별화된 프리미엄 제품 개발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한편, 함께 개발된 ‘풋사과식초과립’ 기술은 OEM 방식으로 생산되어 위탁 판매될 예정으로, 향후 청송 농산물 가공품 브랜드의 다각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이번 기술이전은 지역 농산물의 가치를 높이고, 청송만의 특색 있는 식품 산업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대학 및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가공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실질적인 농가 소득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16일 가톨릭상지대에서 열리는 가톨릭상지대 대학돌봄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석한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16일 가톨릭상지대에서 열리는 가톨릭상지대 대학돌봄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