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안동시의회) 영남권 초대형 산불 피해, 국가가 책임지고 나서라! 경북 시‧군의회의장협의회, 영남권 초대형 산불 피해 복구 및 지역재건을 위한 특별법 제정 촉구”공동 건의문 채택

등록 :2025-05-14    조회수 10

김종협기자

본문

- 안동시의회 김경도 의장 제안에 경북시·군의회 한 뜻으로 응답 -

 

f606de9584e8ff400c690157fe1baa1c_1747207886_2888.jpg
2025
3,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은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영남권 전역으로 삽시간에 번지며, 주택과 산림은 물론, 농업과 어업 등 지역생업기반까지 모조리 삼켜버렸습니다. 이는 단순한 재난을 넘어, 지방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국가적 위기 상황입니다.

 

이에 경상북도시군의회의장협의회는 514일 제334차 월례회에서 안동시의회 김경도 의장의 제안으로 영남권 초대형 산불 피해 복구 및 지역재건을 위한 특별법 제정 촉구 공동 건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 국회와 정부에 강력히 요구하기로 했습니다.

 

김경도 의장은 제안 설명에서 초고령화와 지방소멸 위험이 높은 지역이 현행 제도로는 피해 회복은커녕 생존조차 담보할 수 없다이제는 국가가 책임 있게 응답할 때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번 공동 건의문에는 다음과 같은 강력한 요구 사항이 담겼습니다. 피해 주택에 대한 현금·현물 지원 확대 농림어업, 소상공인, 중소기업 등 생업 기반 복구에 대한 실질적 지원 기초지자체의 재정 부담 완화와 국가 주도형 지역 재건 추진 특별법 제정 이전이라도 예비비·추경을 통한 신속한 재정 지원

 

f606de9584e8ff400c690157fe1baa1c_1747207908_5737.jpg
김 의장은
이번 공동 건의문은 단순한 지역 이익을 위한 주장이 아니다. 기후위기 시대에 반복되는 초대형 재난에 대해, 대한민국이 과연 국민의 생명과 삶을 책임질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묻는 것이라며, 경북시군의회의장협의회와 253만 도민의 뜻을 하나로 모아, 국회와 정부에 직접 이 메시지를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경북시군의회의장협의회는 253만 도민과 함께, 초대형 재난으로 무너진 삶의 터전을 복구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법적·제도적 기반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는 절박한 마음을 담아 이번 공동 건의문을 채택했습니다.

 

재난 앞에 국민이 홀로 서지 않도록, 지방이 버려지지 않도록.” 경북시군의회의장협의회는 253만 도민과 함께 특별법 제정이 실현되는 그날까지 끝까지 한 목소리를 내고 행동할 것입니다.

이제는 정부와 국회가 책임 있게 나설 때입니다.”

 

 

 

최신기사

철저한 진상규명 요청

안녕하십니까. 저는 경북 영주시에 거주하는 시민입니다.저는 오랜 수감 생활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와 조용히 살아가던 중, 지인을 통해 당시 황 00 영주시의원을 소개받아 잠시 인사를 드리게 되었습니다. 그 자리에서 황 의원이 제게 "형님 힘들텐데, 용돈이라도 하세요"라고 하며 100만 원을 건넸고, 저는 호의로 생각하고 그 돈을 받았습니다.하지만 며칠 후, 영주경찰서 형사들이 갑자기 찾아와 ‘공갈 및 협박’ 혐의로 저를 체포하였습니다. 저는 어떤 협박도 한 적이 없으며, 그 돈 또한 자발적으로 건네받은 것이었는데도 구속 수사를 받았고 긴 시간 수감 생활을 해야 했습니다.너무나 억울합니다. 이 사건은 정치적인 관계 또는 개인적 이해관계로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 과정에서 저의 인권이 무시되고, 정상적인 절차가 지켜지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이에 저는 다음과 같이 요청드립니다:당시 수사 과정에 대한 진상조사 요청고소인의 고의적 허위 고소 여부에 대한 조사향후 억울한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경찰 수사 과정의 투명성 확보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억울함을 호소하며, 관계기관의 철저한 진상 규명을 강력히 요청드립니다.감사합니다.

청송군, 지방소멸대응기금 확보에 총력

청송군(군수 윤경희)은 인구감소 방지 및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2026년 지방소멸대응기금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군은 지난 9일 군청 미래도약실에서 윤경희 청송군수와 부군수, 실과장 등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6년 청송군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수립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행정안전부는 전국 122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매년 1조 원씩 총 10조 원 규모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편성해,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인구감소 방지 및 지방소멸 대응 사업에 대한 투자계획을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기금을 차등 배분하고 있다.  청송군은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지방소멸대응기금으로 총 18개 사업에 약 314억 원을 투입해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생생 재활물리치료 기능보강’, ‘친환경 농업 R&D 기반조성(황금사과 연구단지 친환경 미생물 공급 시설 구축)’, ‘청송특화형 청년정주 활성화사업’ 등은 완료됐으며, ‘청송읍·진보면 공공임대주택 조성’, ‘K-U시티 역노화 사업’ 등은 현재 진행 중이다. 이번 보고회에서는 2026년 청송군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사업에 대한 보고와 함께, 기금 배분 기준에 부합하는 사업 개선 및 보완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며 기금 확보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공공임대주택 건립, 키즈광장 조성, 진보도서관 리모델링을 통한 청년 빌리지 조성 등 정주 여건 개선 방안과 △K-U시티 역노화 산업, 청송사과사관학교 운영 등을 통한 인구 유출 방지 및 귀농 인구 유입 확대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도 논의되었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은 매우 현실적인 위기 상황”이라며, “청송군만의 강점을 최대한 반영한 차별화된 투자계획을 수립해 군민과 함께 모두가 잘사는 청송군을 만들 수 있도록 지방소멸대응기금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청송군, 산불 피해 이재민 대상 ‘찾아가는 방문 설명회’추진

  청송군(군수 윤경희)은 최근 산불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을 대상으로 피해 복구 및 생활 안정 지원을 위한 ‘찾아가는 방문 설명회’를 경로당 등에서 실시하고 있다. 군은 4월 29일까지 총 23개 마을에서 452명의 이재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마쳤으며, 앞으로도 마을별 순회 설명회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임시 조립주택 설치, 피해 주택 철거, 농업 분야 지원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 방침을 상세히 안내하고, 이재민들이 현장에서 겪는 불편 사항과 건의사항을 직접 청취했다. 특히 피해 복구와 관련된 해당 부서 과장들이 현장에 직접 참석해 보다 구체적인 지원 방향을 설명했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이번 설명회는 이재민들과 직접 소통하며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는 데 중점을 뒀다”며, “앞으로도 마을별 지속적인 설명회를 통해 맞춤형 복구 대책을 추진하고, 피해 주민들의 빠른 일상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청송군, 산불 이재민을 위한 임시조립주택 견본 설치

청송군(군수 윤경희)은 최근 산불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임시주거용 조립주택 견본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군은 총 560여 동의 임시주거용 조립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며, 이재민들이 실제 거주하게 될 주택의 구조와 내부 시설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파천면 덕천1리(파천면 안파로 1244)와 진보면 진보문화체육센터(진보면 진보로 187) 두 곳에 각각 1동씩 견본주택을 설치했다. 설치된 조립주택은 3m x 10m(30㎡, 9평형) 크기로, 건축법에 규정된 단열 기준을 충족하여 냉난방 효율이 뛰어나고, 여름철과 겨울철 모두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인 주거 편의시설(주방, 화장실, 냉난방, 온수 설비 등)을 완비하여 이재민의 실생활을 충분히 반영하여 설계되었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이번 조립주택은 단순한 임시거처가 아니라, 이재민들이 최소한의 불편함 없이 안정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고안된 집”이라며, “앞으로도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보다 나은 주거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청송군은 오는 5월부터 본격적인 임시조립주택 설치에 착수할 예정이며, 이재민들이 하루빨리 안정적인 생활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